식민지 엘리트의 꿈, ‘강한 조선인’

‘강한 조선인’을 만들기 위해선 스포츠를 하는 것이 급선무가 되었다

원래 조선 백성들은 뛰지 않았다. 워낙 먹을 것이 궁한 시절이라 끼니를 때우고 나면 살살 걸어다녔다. 먹은 거 아끼느라고 말이다. 아이들이 뛰어다니면 할머니들이 “배 꺼진다. 뛰지 말아라”라고 채근할 정도였다. 그런데 끼니 걱정 없던 양반도 뛰지 않기는 매한가지였다. 그들은 절대로 뛰지 않았을 뿐 아니라 뛰는 것 자체를 천하게 여겼다.

신기선(1851~1909)이란 자가 있었다.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과 가까웠고 후에 갑오개혁을 이끈 김홍집 내각에서 대신을 지낸 개혁적 인물이었다. 어느 여름날, 미국 영사는 조선의 고위 관료들에게 테니스를 보여주고자 했다. 스포츠의 즐거움을 알게 하고 참여를 권유하려 했을 터이다. 그러나 땀을 뻘뻘 흘리며 뛰어다니는 서양인들에게 신기선은 이렇게 나무랐다. “아니, 아랫것들 시키지 왜 직접 뛰어다니시오?” 하여튼 이렇게 모두들 뛰면 안 되는 시절이었다.

뛰는 것을 상스럽게 생각하던 당시 양반은 당연히 다리가 짧아야 했다. 길면 상놈이었다. 양반의 품위를 지키기 위해선 다리가 짧아야 했던 것이다. 그런데 개화기에 접어들면서 변화가 왔다. 근대적 조선, 강한 조선인을 만들기 위해선 스포츠를 하는 것이 급선무가 되었다. 그러니 당연히 뛰어야 했고, 또 이기기 위해선 ‘짜리몽땅’ 보다는 ‘기골장대’ 가 우선이었다.

강한 조선인, 활쏘는 모습

스포츠는 근대화의 상징

1895년 체조가 학교 교과목에 포함된 이후 축구·야구 · 정구 등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1896년 『독립신문』은 사설에서 “조선이 암만 하여도 나라가 되겠다”며 우리 학생들을 칭찬하는데, 그 이유는 우리 학생들이 특히 축구에서 일본 학생보다 백배 낫고 영국 학생과 비슷해서였다. 어느덧 스포츠는 군대 못지않게 근대화의 상징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1920년 『개벽』은 「사나이거든 풋볼을 차라」를 통해 우리가 축구를 해야 하는 새로운 이유를 제시한다. 조선인은 원래 어렸을 때부터 업혀 길러지는데다 꿇어앉는 습관 때문에도 다리가 짧고 양복을 입어도 폼이 안 나는데, 야구나 정구도 좋지만 축구를 해야 다리가 길어지고 튼튼해져서 민족적 신체 결함(?)을 고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우리가 왜 지금도 그렇게 ‘다리 길이’ 를 가지고 예민하게 구는지, 왜 롱다리, 숏다리, 농다리같은 ‘다리 농담’ 이 시리즈로 출현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 ‘강한 조선’  ‘체육 조선’ 뿐 아니라 ‘롱다리 조선’ 도 민족의 염원이었다.

조선의 엘리트들은 서구 문물에 눈을 뜸과 동시에 우리의 ‘왜소함’을 알게 된 것이다. 사실 외국을 경험했던 당시 조선의 엘리트들 눈에 조선 백성들은 참으로 허약했다. 이광수의 표현을 빌리자면, 조선 백성은 이렇게 생겼었다고 한다. “조선인은 눈동자가 풀렸고 입은 벌어졌으며 팔다리는 늘어졌고, 가슴은 새가슴에 걸음걸이에 기력이 보이지 않고 안색도 누렇다. 조선인의 용모에는 쇠퇴, 궁색, 천함이 찍혀 있다.” ” 이러한 자화상은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 민족적 콤플렉스’로 자리잡게 된다.

강한 조선인, 여궁사 모습

강한 조선인을 만들기: 상무정신

20세기에 접어들던 시기, 한반도가 서구 열강의 각축장이 되는 혼란 속에서 조선은 결국 나라를 빼앗기게 됐고 당연히 당시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은 나라를 빼앗긴 원인을 찾아 나섰다. 이들은 뿌리 깊은 유교적 전통과 숭문사상을 나라 망친 주범으로 지목하면서 강한 조선인을 만들기 위해 상무정신을 강조한다. 이들이 ‘강한 조선인’을 육성하기 위해 모델로 삼은 인간형은 바로 일본인이었다.

청일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조선을 중국으로부터 해방(?)시켜줬고 1905년 러일전쟁에서 당시 무적함대라 일컬어지던 러시아의 발틱함대를 대한해협에 수장시켜 황인종이 백인종보다 우월함을 입증한 일본을 두고 윤치호는 “황인종의 한사람으로서 나는 일본을 사랑하고 공경한다”고 일기에 썼다.’ 이광수 역시 일본인을 조선인과는 정반대로 보았다. “광채가 나는 눈동자에 예리한 기운이 돌고 다문 입엔 의지력이 보이고, 몸을 보면 가슴이 볼록, 양 어깨에 근육이 나오고 돌처럼 단단하다. 그 덕에 일본인은 하루 100리를 달리고 전쟁이 나면 총과 배낭을 메고 풍찬노숙을 견딘다.” 어찌 보면 ‘미디엄 사이즈’의 람보들을 표현한 듯하지만, 이광수를 위시한 당시 지식인들은 이렇듯 일본인에게 매료돼 있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일본인들이 조선인보다 신체적 조건에서 나을 게 있었을까? 이광수가 흠모했던 일본인들도 실상은 서양인들을 동경하며 서양인들의 외모를 따라잡기에 바빴다. 지금도 일본의 각료들은 어울리지도 않는 연미복을 입고 도열해 단체기념사진을 찍지 않는가. 또 지식인들은 조선 형제를 묘사하면서 등이 구부러지고 싸움도 못 하며 뒷걸음질부터 칠 뿐 아니라 곧 항복하고 만다고 애석해 했지만, 과연 조선 청년들이 그런 겁쟁이들이었을까? 천만의 말씀이다. 조선의 젊은이들은 대보름이면 이웃 마을 청년들과 석전, 즉 돌싸움까지도 불사할 만큼 겁 없고 당찬(?) 이들이었다. 그럼에도 이렇듯 스스로를 비하하게 된 건 특히 근대적 군대와 서구식 제복에 대한 동경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어쨌든 당시 엘리트들은 등이 구부러지고 늘 겁에 질려 있는 문약한 조선인을 상무적 전사로 변화시키려면 운동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신채호도 『대한매일신보』에 쓴 글에 “덕, 지, 체 삼육에 체육이 최급이라” 면서 지금 우리가 흔히 지덕체를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체덕지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따라서 병식체조와 군사훈련을 가르치고 행진과 운동회 등을 실시하여, 조선인을 강한 체력의 소유자로 개조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던 학교나 기독교 단체가 환영받을 수밖에 없었다. 어차피 ‘근대국가’ 의 꿈은 어려워졌고, 대신 ‘근대국민’이 필요했기에 체육은 당연히 중요했다. ‘체육 조선’은 이들의 꿈이었다.

참조: ‘세계기록 돌파’한 마라톤 선구자들